점 (2017) 김강민
주말 아침이면 가족들은 으레 목욕탕을 갔다. 살림살이가 나아지고 집집마다 화장실이 아닌 욕실이 생겼다. 예전만큼 목욕탕을 자주 찾지 않는다. 대신 요즘에는 찜질방이 있다. 세월이 변해도 뜨뜻한 공간은 여전히 인기다. 목욕탕을 즐기는 방법은 가지각색이지만 그곳의 온도와 습기는 모두에게 고루 스며든다. 나는 온탕과 냉탕을 오가며 소름이 돋았다 사라지는 것을 신기해했다. 수영은 못해도 물속에서 숨 참고 버티기는 잘했다. 목욕탕은 두 시간쯤은 예사로 보내는 놀이터였다. 지금도 날씨가 으슬으슬하거나 몸이 찌뿌둥하면 생각나는 치유의 장소이자 지나간 시절과 그때의 사람들이 떠오르는 추억의 공간이다. 목욕탕을 보기만 해도 자연스레 마음이 풀어진다.
김강민의 <38-39°C>(2011)를 볼 때도 그랬다. 화면 너머 뿌옇게 김 서린 목욕탕의 온기가 느껴졌다. 머릿속에서는 여태까지 다녀본 온갖 목욕탕이 스쳤다. 영화 속, 어른이 된 주인공도 목욕탕을 통해 과거를 떠올린다. 덩치 크고 피부가 달아오른 남자와 상대적으로 작은 남자의 엉덩이에는 똑같이 커다란 점이 있다. 아들은 아버지의 점을 있는 힘껏 민다. 때밀이를 겪어 본 사람이라면 가만히 견디기 힘든, 너무 상상이 가는 아픔이다. 이 장면의 고통은 <점>(2017)에서 그대로, 아니 한층 더 강해진다. 거대한 점은 혈연의 표식이다. 아들은 아버지의 점을 거세게 밀어서 뿌리째 뽑아버린다.
평탄한 가정사를 스펙터클한 활극, 미스터리 스릴러를 둔갑시키는 김강민은 재미난 이야기꾼이다. 재주는 집안 내력일까 정체불명 돌연변이일까. 서울엔애니메이터는 2018년 12월 말부터 2019년 1월 중순까지 이 기발한 스톱모션 제작자와 이메일을 교환했다. <점>을 만든 계기인 첫아이는 세 살이 되었고 장차 어떤 작품이 될지 모를 둘째 아이를 막 얻은 참이었다.
In the past, families often went to a public bathhouse on weekend mornings. As living standards improved, each household gained its own bathroom beyond a simple toilet. Today, people don’t visit bathhouses as much as in the past but they go to the sauna instead. Although times have changed, these hot spaces are still popular today.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to enjoy a visit, but the heat and humidity is soaked up by everyone. From my own experience, switching between cold and hot baths brought a feeling of shock that would gradually subside. Although I couldn’t swim, I was good at holding my breath under the water. The bathhouse was a place of healing whenever the weather was chilly or my body felt stiff and heavy, but it was also a place full of nostalgic memories. The sight of a bathhouse alone can soothe my heart.
These warm feelings were brought to mind when I saw Kangmin Kim’s animated short 38-39°C (2011). I could feel the heat in the steamy bathhouse, and the public baths from my memories flashed through my mind. In the film, the child who becomes an adult also remembers the past through the bathhouse. The big man whose skin turns red and the smaller boy both have a big birthmark on their bottom. The boy scrubs the father’s birthmark as hard as he can. Anyone who has experienced a body scrub can imagine the pain during this scene. This pain becomes even more intense in the sequel Jeom (2017), where the big birthmark is a symbol of blood ties. The boy scrubs his father’s birthmark with all his might until it is torn up by the root.
Kangmin Kim is a skilled storyteller who can transform a seemingly uneventful family story into a spectacular action scene or a mystery thriller. Is this a talent that runs in the family, or it something anomalous? I exchanged emails with this brilliant stop motion creator between December 2018 and January 2019. His first child, the inspiration for Jeom, turned three during this time, and the birth of his second child promised to inspire new creative endeavors.